<p></p><br /><br />오늘 뉴스터치는 '거짓 처방전'으로 다이어트약을 판 약사 이야기 입니다. <br> <br>경찰이 전남 광주의 약국을 압수수색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영장 집행하려고 왔습니다.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…" <br> <br>약사 52살 A씨는 '다이어트약'을 쉽게 구할 수 있다며 홍보해왔는데요. <br> <br>2015년부터 올해 1월까지 진료도 받지 않은 환자 330명에게 다이어트약을 팔았습니다.<br> <br>범행에는 의사도 가담했습니다. A씨가 의사와 나눈 SNS 대화를 보시죠. <br> <br>약사 A 씨가 56일치 다이어트약이 필요하다며 필요한 약의 종류를 보내자, 의사가 '알았다'며 답장을 보내는데요. <br> <br>평소 친분이 있던 의사들에게 허위 처방전을 받아온 겁니다. <br> <br>이렇게 발급된 처방전은 700건이 넘는데 의사들에게는 금품을 주고 자신은 4천 8백만 원의 부당 이득을 챙겼습니다. <br><br>문제는 판매된 약이 마약류가 포함된 향정신성 의약품이라는 겁니다. <br> <br>약을 구입한 여성 중에는 하루 3회 복용해야 할 약을 하루 9차례 복용하게 해 환각 증세가 나타난 경우도 있습니다.<br> <br>A씨는 구속됐고 의사들도 불구속 입건됐는데요. <br> <br>향정신성 의약품에 대한 허술한 관리감독 문제도 함께 불거졌습니다. <br> <br>비만 등의 목적으로 처방하는 향정신성 의약품은, 보험 지원이 되지 않아 신고 의무도 없는 '비급여 항목'에 해당돼 감독기관에서 처방이나 조제 내용을 관리할 수 없습니다. <br><br>[박용문 /부산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장] <br>"국민건강보험공단의 관리 감독을 받지 않기 때문에 처방된 내역이라든가 현황이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습니다." <br><br>경찰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전국 병원이나 약국을 상대로 수사를 확대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뉴스터치 두 번째 이야기는 산악사고 이야기 입니다. <br> <br>북한산의 암벽입니다. <br><br>어제 오후 1시 이곳에서 암벽 등반을 하던 59살 이모 씨가 추락했습니다. <br> <br>헬기를 통해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숨졌는데요. <br> <br>경찰과 소방당국은 폐쇄된 암벽장에서 암벽 등반을 하던 중, 바위에 고정해놨던 장비가 빠져 사고가 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최근 5년간 국립공원에서 발생한 암벽 안전사고 중에는 추락 사고가 가장 많았는데요. <br> <br>특히 도심 속에 있어 사람들이 많이 찾는 북한산에서의 사고가 가장 많았습니다. <br> <br>추락사고 가운데에는 정규 탐방로가 아닌 통제구역으로 들어갔다가 사고를 당하는 사례가 있는데요. <br> <br>봄철, 등산가실 때 장비는 제대로 갖춰졌는지 안전한 코스인지 점검해 봐야겠습니다. <br><br>뉴스터치였습니다. <br> <br>서상희 기자 with@donga.com